영화 명량의 인기 때문인지 요즘 KBS에서 예전에 했던 불멸의 이순신을 다시 편집하여 다시보는 불멸의 이순신 이라는 제목으로 매일 밤 늦게 방송을 하고있는데 추석날 밤 이순신이 녹둔도에서 백의종군하여 승전하는 방송을 보고 예전에 조사했던 녹둔도에 관한 자료 중 일부를 요약해 기록해 본다
잊지말아야 할 우리의 옛 영도 녹둔도(鹿屯島)를 아시나요? 여러 자료를 종합하면 대동여지도에도 있고 두만강 하구 두만강 지류인 녹둔강에 있는 섬인데 사전에 의하면
조선 태조가 개척한 이후 400년간 조선의 영토였다.
여진족들이 자주 약탈을 일삼아 6척의 목책을 두르고 병사가 방비하는 가운데 농사를 짓기도,
선조 때에는 출입의 번거로움을 덜고, 국경 경비를 강화하기 위해 둔전(屯田)을 실시하자고도 했다.
1800년대 이후 두만강의 범람과 퇴적 작용으로 녹둔도의 북쪽이 연해주와 연결되고,
1860년 청나라가 러시아와 베이징조약을 맺은 이후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고종이 1889년 청나라에 항의하면서 반환을 요구하기도 하고,
한국도 1990년 러시아에 섬의 반환을 요구했지만
북한이 구 소련과 1990년 국경조약을 맺으면서 녹둔도는 결국 구 소련의 영토로 귀속됐고,
현재 러시아의 영토로 되어 있다.
△ 한국지리(이우평) <세계화 시대의 국토 인식 <주변국과 관련된 영역
Copyright (c) Daum Communications. Korea Britannica Corp.All rights reserved.
녹둔도에 관한 지도는 저작권 때문에 가져올 수 없었는데
녹둔도에 관한 연구 서적 책 제목으로 녹둔도의 위치를 어느 정도는 추측할 수 있을 것 같아
책 표지를 지도 대신 사용합니다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이 발간간 녹둔도에 관한 서적입니다.
지금 두만강 하구 서쪽 범람원에 있는 녹둔도는 늪과 사구, 잡초가 무성한 황무지이지만
지난 600여 년 간 우리 선조가 삶의 터전을 가꾸어 왔던 땅이다.
150여 년 전 러시아령으로 편입된 후에도 한때 두만강을 건너 많은 우리 농민이
새로운 촌락을 건설하고 경작지를 이루고 우리말 마을 이름을 남겼다.
그러나 1937년 스탈린의 소개령 선포 이후 녹둔도는 우리 기억에서 사라졌다.
이 책은 여섯 번의 현지답사를 통하여
녹둔도의 위상을 역사, 자연지리, 촌락, 그리고 토지이용 분석을 통하여 처음으로 정리한 것이다.
특히, 답사를 통하여 16세기에 설치된 농보(農堡)의 토성 추정지를 찾아냈으며,
이곳에서 한인이 모두 추방되기 전 살았던 농가의 옛터와 농경지,
버려진 연자방아 등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녹둔도는 지금 러시아 국경수비대가 점령하고 있는 땅이 되어
우리는 갈 수 없지만
우리 선조가 여진과 싸워 지켜 왔던 고유의 우리 영토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우리에게 녹둔도는
조선시대 변방주민 삶의 근거지로 수시로 약탈하는 여진족을 물리친 이순신 장군의 승전지로 알려져 있다.
실제 역사적으로 수많은 고서와 고지도에서 녹둔도는 우리의 고유한 영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 두만강 하구 녹둔도 연구 출판사 리뷰 에서
감사합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오피스 프로그램 - 네이버 오피스 (0) | 2014.09.19 |
---|---|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0) | 2014.09.17 |
포토스케이프를 활용하여 위젯용 이미지 만들기 (0) | 2014.08.14 |
식품가공 저장 및 포장 - 함평군농업대학 경영혁신과정 (0) | 2014.07.30 |
블로그에서 나만의 위젯 만들기 (0) | 2014.07.15 |